데이터 제공 거부하던 입장 선회해
보다 정밀한 안전점검 및 진단 가능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테슬라가 자사 차량에 대한 안전진단 정보 제공을 거부해온 기존의 입장을 바꿔 지난달 중순께 관련 데이터를 한국교통안전공단(이하 공단)에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껏 배선 손상, 타이어 상태 등 외관 확인만 가능했던 테슬라 차량에 대한 안전점검이 보다 정밀하게 이뤄질 가능성이 열렸다.
7일 공단 등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테슬라는 차량 주행이나 배터리 등 안전진단 데이터를 공단에 전달했다. 여기엔 전자주행장치(ECU), 차량주행, 배터리 등과 관련한 데이터가 포함됐다. 테슬라는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 단자가 없이 설계돼, 공단은 안전 관련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끔 전용 케이블도 제작 중이다.
OBD는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엔진·브레이크·조향·안전 기능의 이상 여부를 진단·감시하는 장치로 2009년부터 국내에 출시되는 모든 차량에 의무적으로 장착됐다.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시행되는 정기검사에서는 이 OBD 단자를 통해 진단기를 꽂아 차량의 내부 정보와 오류 사항 등을 확인한다. 그간 테슬라 차량에 대한 정밀한 검사가 이뤄지지 못한 것도 점검 데이터와 OBD 단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앞서 테슬라는 OBD 단자를 설치할 경우 자율주행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이 해킹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하며 공단의 진단 정보 제출 요청을 거부한 바 있다.
이에 합의점으로 대시보드 모니터에 자체 진단 메뉴(관리자 모드)를 개발해 차량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했으며 관련 기능 구현을 위한 회의를 공단과 진행해왔다.
이를 두고 테슬라가 의도적으로 결함을 감추거나 시스템 오류가 발생해도 당국이 대응할 방법이 없다는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공단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자체 진단 시스템 제작 계획을 취소하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바꿨다. 공단 측은 안전점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해 시범 운용한 뒤 정기검사에 적용할 예정이다.
공단 관계자는 “테슬라가 고유 데이터를 제공했다”며 “전자제어장치, 배터리 등 그동안 데이터가 없어서 진단하지 못했던 것들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51세 머스크, 저커버그와 결투에 "사나이는 전쟁을 사랑한다"
- LG엔솔, 중국 제외 글로벌 배터리시장 '강자'
- 이재용 삼성 회장, 완전체 로봇 '휴머노이드'에 꽂혔나… 본격개발 검토
- '좌충우돌' 테슬라, 자율주행 이어 핸들문제로 28만대 조사
- 테슬라, 인도 공장 추진… 3000만원짜리 모델 나오나?
- 8월 둘째주 전력수요, 여름철 역대 최대기록 넘나
- 일론 머스크 최측근 커크혼 사임… 독불장군 주변 사람이 없다
- 테슬라, 3주 만에 주가 15% 급락… 서학개미들 발동동 왜?
- 테슬라, 중국서 '가격 인하' 승부수… 업체 간 경쟁 과열되나?
- 테슬라, 최대 1300만원 가격 폭풍인하…이유는?
-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 또 등장… 한미연합연습 노려 사이버 공격
- 현대차그룹 연내 시속 80㎞ 자율주행차 출시… 세계 최초 레벨3 상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