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지 국감'으로 번진 정권 리스크
野 '만사현통' 공세, 與 '색깔론 재탕' 반격
이재명 정부 첫 국감, 실세 논란에 흔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이 연일 국정감사장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그림자 실세’ 논란은 물론 인사 개입·변호사 교체·종북 연루 의혹까지 줄줄이 터지며, 이른바 ‘김현지 리스크’가 이재명 정부의 새 부담으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국감 내내 김 실장의 실체를 두고 충돌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권력 사유화’ 사례로 김 실장을 지목하며 전방위 공세에 나선 반면 민주당은 “사실무근의 정치공작”이라고 맞받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번 국감을 ‘김현지 청문회’로 만들고 있다. 실제 지난 14일부터 ‘김현지 제보센터’를 개설하고 김 실장 관련 제보를 공개 모집하는 등 조직적인 검증전에 돌입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송금 사건’ 변호인 교체 배경에 김 실장이 개입했다며 “공범 관계의 최측근이 재판에 영향을 미치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은 “증거 없는 음해”라고 반박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야당이 20년 전 판결문을 끄집어내 색깔론을 재탕하고 있다”며 “정치공세로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고 했다.
성남시 지역 정치권에서 과거 ‘괴문자 사건’이 다시 거론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이덕수 성남시의원은 “2013년 성남시장실 인근에서 제 컴퓨터로 허위문자가 발송됐다”며 당시 실질적 배후로 김현지 실장을 지목했다.
해당 사건으로 김 실장은 벌금형을 받은 바 있다. 여당은 이와 관련해 “이미 법적 처리가 끝난 사안”이라며 “과거 사건을 끌어내 정치적 이득을 취하려는 의도”라고 일축했다.
농해수위와 행안위 국감에서도 김 실장 이름이 빠지지 않았다.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은 “김인호 산림청장 인사에 김 실장이 관여했다는 정황이 있다”며 “대통령 측근이 인사 라인까지 움직였다면 중대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여당 측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국정의 통상적 절차를 왜곡한 주장”이라고 반박하면서 “총무비서관 시절 업무 범위 내 행정 조율을 ‘인사 전횡’으로 몰고 있다”고 방어했다.
당장 김현지 실장이 국감에 출석할지 여부는 정부와 여권의 최대 고민거리로 떠올랐다. 야당은 “출석을 피할수록 국민의 의심이 커진다”며 압박하고 있지만, 여당 내부에선 “정쟁만 키울 뿐 실익이 없다”는 기류가 강한 모습이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국감에 나와 당당히 해명하면 된다”고 했으나,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는 “정치공세용 무대가 될 것”이라며 난색을 보였다.
결국 김 실장이 어떤 선택을 하든 정치적 부담은 피하기 어렵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출석하면 실언 위험, 불출석하면 실세 의혹이 더 증폭될 수 있다”며 “딜레마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론은 김 실장의 출석을 요구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천지일보-코리아정보리서치 조사에서 국민 59.1%가 “국감 출석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치권에서도 “김 실장이 직접 해명에 나서지 않으면 의혹이 계속 커질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결국 국감은 ‘정책 검증’보다 ‘김현지 검증’에 집중되며, 이재명 정부의 도덕성과 권력 구조도 시험대에 올려놓고 있다.
- [정치전망대] 민주당은 조희대, 국힘은 김현지 조준… 李 정부 첫 국감 '전운 고조'
- [정치전망대] '조희대 딜레마'에 빠진 與 … 일단 '강공', 성과는 두고봐야
- [정치전망대] 국힘 협조없는 정부조직 개편...시계 '불투명'에 금융정책 표류 우려
- [정치전망대] 민주당 '투톱',파국서 다시 화해?… 비온뒤 땅 굳어질까
- [정치전망대] 대통령·여야 대표 회동 성사…'협치' 신호탄 될까
- 박정훈 "김현지, 대장동·대북송금 때마다 휴대폰 교체"
- [정치전망대] 재초환 완화·폐지까지 언급하는 여야...부동산 표심잡기 '급급'
- [정치전망대] 벌써부터 후끈, 내년 지방선거판… 서울·전남 등 접전 예고
- [정치전망대] '진심으로 다시, 혁신으로 전진'...조국혁신당 2기, '어대조' 조국 옆 최고위원은 ?
- [정치전망대] 장동혁의 '우클릭 연대' 역풍… 지도부 교체론·분당론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