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현산, 잇따른 붕괴사고에 '안전 최우선' 약속 공염불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잇단 건물 붕괴사고로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의 경영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사고 이후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그의 약속은 공염불에 그쳤다.
◆잇따른 대형사고 발생에 책임 회피 급급
정 회장의 리더십이 다시 도마에 오른 건 지난 11일 광주 서구 화정동 화정현대아이파크 공사 현장에서 아파트 외벽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발생하면서다. 사고현장에 있던 근로자 6명은 12일 현재 연락이 두절된 상태로 경찰과 광주시소방본주 측은 인명사고 가능성을 열어놓고 구조에 나선 상황이다.
특히 이번 사고는 오는 27일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앞두고 발생해 정 회장의 부실 관리·감독에 대한 비판이 쏟아진다. 사고 당일은 정부가 광주 건물 붕괴참사 재발방지를 위해 마련한 건축물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날이기도하다.
무엇보다 HDC현산의 대형사고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지난해 6월 광주에서 철거 중이던 5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면서 시내버스를 덮쳐 버스 탑승객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정 회장은 당시 광주 현장을 직접 찾아 “무거운 책임을 통감한다”며 “이런 사고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전사적으로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불과 7개월 만에 또다시 대형 참사가 터졌다.
그럼에도 당시 사고와 관련된 국정감사에 모습을 드러낸 사람은 최고 책임자인 정 회장이 아닌 권순호 HDC현산 사장이었다. 월급 사장을 내보내고 자신은 쏙 빠진 것이다.

◆ 거짓말 의혹에 자질 도덕성 논란까지
정 회장은 광주 건물붕괴 참사 이후 줄곧 재하도급 사실을 부인했다. 그는 사고 발생 직후 “철거공사 재하도급과 관련해 한솔기업과 계약 외에는 재하도급을 준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 중앙건축물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에 따르면 HDC현산이 불법 재하도급 문제를 인식했음에도 이를 묵인한 정황이 드러났다.
경찰도 중간 수사결과 HDC현산이 불법 재하도급을 인지하고도 모른체했다고 발표했다. 원청의 업무태만이 사고의 시발점이 된 것이다. 재하도급 사실을 몰랐다고 재차 반복하던 정 회장의 주장은 거짓말 논란으로 치달았다.
당시 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에 대한 보상도 이뤄지지 않았다. 정 회장은 “이번 사고 피해자와 유가족분들의 피해 회복, 조속한 사고 수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아직까지 보상소식이 없다.
광주 학동참사대책위원회에 따르면 HDC현산은 유가족에게 세월호 유족보다 조금 더 보상해 줄테니 합의하자고 제안했다. 보상으로 이들의 마음을 달랠 순 없겠지만 최소한 유가족들과의 약속은 지켰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HDC현산 측은 유족의 뜻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밝혔으나 7개월이 지난 지금도 제자리다.
이처럼 반복된 거짓말 논란에 대형사고까지 잇따르자 정 회장이 퇴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배신감을 느낀 국민의 마음을 잠재우기 어렵고, 그의 경영능력과 리더십에 대한 우려가 눈덩이처럼 커진 상황이다.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에 정 회장의 미래도 불투명해졌다.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2022년에 이런 사고가 발생하는게 믿기지가 않는다”, “대형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HDC현산에 대한 믿음이 사라졌다”, “2022년에 이런 사고가 발생하는게 믿기지가 않는다”, “정 회장이 물러나야 하는 것 아니냐” 등 비난이 쏟아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대형사고가 발생해 안타깝다. 사고 원인과 향후 대책 마련이 중요할 것”이라며 “이번 사고로 더욱 강력한 법안이 시행될 수 있다.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 "해체주체는 철거업체" HDC현산 관계자들 건물붕괴 참사 혐의 부인
- HDC현산, 불법 재하도급 관련 "드릴 말씀 없다"
- 경찰, '광주 건물붕괴 참사' HDC현대산업개발 직원 2명 구속영장
- 광주 광천동 신축아파트 공사장 외벽 붕괴…인명피해 확인 중
- 올해 건설사 CEO 키워드는 '디벨로퍼·신사업·안전'
- HDC현대산업개발 “시간 걸리더라도 의견 반영해 보상 나설 방침”
- 7개월전엔 참사 즉시 현장 찾더니…보이지 않는 정몽규
- HDC현산 '아이파크' 브랜드 존폐 위기…곳곳서 "이름 빼자"
- 중대재해법 완화 노력 '와르르'…건설업계, HDC현산 사고에 '맨붕'
- [CEO 투데이] '물컵 갑질' 2년여만에 사장으로 번개 점프한 조현민
- "주택시장서 퇴출해야" HDC현산 향한 비난 '일파만파'
- 정몽규 HDC현산 회장, 광주 참사 책임론에 거취 표명하나
- 정몽규 HDC현산 회장 사퇴…"책임 회피성 아니다"
- [CEO 투데이] 비장의 한수로 부활한 김택진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