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존스·S&P500은 각각 3.9%, 4.3% 급락 마감
물가상승률 예상 웃돌며 강한 긴축 우려 높아져
자이언트스텝 넘어 울트라스텝 가능성까지 나와

[서울와이어 유호석 기자]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동반 추락했다.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을 웃돈 영향이다.
인플레이션(화폐가치가 하락해 물가가 전반적·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 예상보다 심각하며, 장기화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강력한 통화 긴축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투자심리가 급랭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76.37(3.94%) 내린 3만1104.97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일 대비 177.72포인트(4.32%) 떨어진 3932.69로, 나스닥종합지수는 632.84포인트(5.16%) 하락한 1만1633.57로 마감했다.
CNBC와 마켓워치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의 폭락은 코로나19 사태 초기 증시가 급락한 2020년 6월11일 이후 일 최대 낙폭이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8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다. 전월(8.5%)과 비교하면 0.2%포인트 내렸으나, 시장 예상치(블룸버그 8.1%, 다우존스 8.0%)보다는 높았다.
시장에 충격을 준 것은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CPI다. 전년 동월대비 6.3%, 전월대비 0.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7월(5.9%)보다 상승폭이 크다. 인플레이션 진정에 대한 낙관론이 사라지고, 연준이 더욱 매파적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연준은 오는 20~2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진행,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14일 오전 6시18분 현재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단행 가능성이 67%, 울트라스텝(1%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33%다. 빅스텝(0.50%포인트 인상) 가능성은 아예 사라졌다.
주요 종목은 모두 내렸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12.07%), 엔비디아(-9.47%), AMD(-8.99%), 넷플릭스(-7.78%), 인텔(-7.19%), 보잉(-7.16%), 아마존(-7.06%), 팔란티어 테크놀로지(-6.62%), 알파벳A(-5.90%), 애플(-5.87%), 알파벳C(-5.86%), 마이크로소프트(-5.50%), 쿠팡(-5.42%), D-웨이브시스템(-4.62%), 스노우플레이크(-3.97%), 버크셔 해서웨이B(-3.54%), 아이온큐(-0.81%) 등이 줄줄이 내렸다.
전기차 관련주는 대체로 부진했다. 니콜라 코퍼레이션(-6.68%), 테슬라(-4.04%), 루시드 모터스(-2.72%)가 동반 급락한 가운데 리비안(0.05%)이 소폭 올랐다.
밈 주식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8.72%), AMC 엔터테인먼트 홀딩스(-4.89%), 게임스톱(-4.75%) 등도 동반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소폭 내렸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47달러(0.54%) 하락한 배럴당 87.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값도 내렸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12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일 대비 23.20달러(1.3%) 떨어진 온스당 1717.40달러에 거래 됐다.
- 현대판 노예 5천만명, 강제노동·강제결혼·성착취로 고통
- 바이오도 미국 '리스크'… 바이든 “의약품도 미국서 제조해야”
- 엘리자베스 여왕 잠든 관 대중 공개...30년 준비한 영국산 참나무
- 우크라, 번개작전으로 동부영토 대거 탈환...전쟁 중대 분수령
- 원/달러 환율, 1392원대 출발 후 1400원 근접 전망
- [미 인플레쇼크] '울트라스텝' 공포에 뉴욕증시 대폭락… 국내 증시 '막막'
- 추석 연휴 끝나자 코로나 환자 확 늘었다...오늘 9만명 넘어
- 삼성전자, 3%대 하락 출발… 5만6000원대로 밀려
- 코스피, 2%대 이상 하락 출발… 단숨에 2380대로 추락
- 올해 트윈데믹 이겨내면 다가올 봄은 노마스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