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관계자들이 16일 총파업에 참석,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이태구 기자
금융노조 관계자들이 16일 총파업에 참석, 구호를 외치고 있다. /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산업은행(산은) 등 국책은행과 시중은행 노동조합을 포함한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30일로 예고한 2차 총파업을 잠정 연기하기로 했다.

금융노조는 27일 “지부대표자회의에서 금융소비자 불편과 금융시장 동향 등을 고려해 2차 총파업을 10월 중으로 잠정 연기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금융노조의 총파업 연기는 ‘귀족노조의 파업’이라고 악화한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총파업 연기 대신 30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규탄 대회를 열 예정이다.

금융노조와 사측의 매일 교섭은 당분간 이어질 예정이다. 앞서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과 김광수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장은 지난 26일 오전 대대표 교섭을 재개해 다음 달 4일까지 매일 교섭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현재도 양측은 임금인상률 등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5.2%를, 사측은 2.4%를 각각 제시한 상태다.

이외에도 노조 측은 근로시간 단축(주 4.5일 근무제 1년 시범 실시), 점포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제도 개선, 임금피크제 개선, 금융 공공기관 혁신안 중단, 산업은행법 개정 전까지 산은 부산 이전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 측의 이 같은 요구에 사측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에서 다룰 내용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고수 중이다. 

한편, 금융노조는 지난 16일 결국 6년 만에 처음 총파업에 들어갔지만, 5대 시중은행의 1차 파업 참여율 0.8%를 기록했다. 반면 본사 지방 이전 등이 이슈가 걸린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은 전체 노조원의 40∼70%가 파업에 참여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