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원유공급량의 1% 규모
코로나19 유행 이후 최대 감산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석유수출국기구(OPEC)과 동맹 산유국의 모임인 OPEC+가 오는 5일(현지시간) 하루 100만배럴 이상의 원유 감산을 검토하고 있다.
산유국들의 대규모 감산 소식으로 국제유가는 3일(현지시간) 급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5.2%(4.14달러) 치솟은 83.6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12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4.4%(3.72달러) 오른 88.86달러에 거래됐다.
전날 로이터통신은 OPEC+가 오는 5일 석유 생산량을 하루 100만배럴 이상의 감산을 논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전 세계 원유 공급량의 1%에 해당하는 규모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최대 규모의 감산이다.
OPEC+가 이번 회의에 감산 계획을 검토하는 건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화 강세와 경기침체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경기침체가 오면 석유 소비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또 국제유가는 달러화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높으면 유가는 대체로 하락한다.
국제유가는 최근 경기 침체 우려로 하락세를 보였다. 국제유가 기준치인 브렌트유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배럴당 125달러 이상으로 치솟았으나 현재는 배럴당 85달러 수준에서 거래됐다.
대규모 감산은 이미 에너지 주도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와 싸우는 세계 경제의 또 다른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델 하마이지아 하버드대 중동연구센터 연구원은 “OPEC+ 감산 조치는 일부 국가의 경기 침체를 악화시킬 수 있다”며 “감산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면 물가가 더 올라 더욱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 푸틴이 고마운 글로벌 원유·정유 업계… 역대급 이익 잔치
- 코스피, 개인 매수에 1%대 상승 출발… 2180대 회복
- 원/달러 환율, 1432원대 출발 후 소폭 하락 전망
- 뉴욕증시, 영국 부자감세 일부 철회·국채금리 진정에 급등
- 뉴욕증시, 물가지표·매파 발언 등 하락 마감… 다우 1.71%↓·S&P 연저점 경신
- 'IRA 우려 현실화' 현대차·기아 미국 전기차 판매 감소
- 尹, 감사원 서면조사 文 반발에 “대통령 언급 적절치 않아”
- 尹 “北, 무모한 핵도발… 국제사회의 결연한 대응 직면할 것”
- 서울시, 6개 의약단체와 '보건의료 협의체' 출범
- 뉴욕증시, 연준 속도조절 기대에 이틀 연속 폭주… 나스닥 3.34% 올라
- 물가상승 정점 지났나… 두 달 연속 5%대
- 인플레 대란인데 OPEC+ 원유 200만배럴 감산… 러 편든 사우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