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에 입국 규제 '비자 보복'한 중국… 외교부 "유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세계 각국이 중국에서 온 입국자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을 강화하자 보복 조치로 한국과 일본을 첫 타깃으로 삼았다. 우리 정부는 유감스럽다는 입장이다.
◆‘대등한 조치’라는 중국
중국이 한국과 일본을 첫 타깃으로 삼은 것은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양국의 높은 규제 수준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지난 10일 한국과 일본에 대해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데 이어 전날에는 도착 비자 발급과 무비자 경유 허용도 중단했다.
중국은 “상호주의에 입각한 조치”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함께 일본도 걸고 넘어지면서 중국의 대응 기준이 불분명해졌다. 한국의 경우 단기 비자 발급 중단이 ‘상응 조치’로 이해될 수 있으나 중국은 자국민에 대해 비자 발급을 중단하지 않은 일본에 대해 더 수위 높은 대응을 했다.
중국은 일본에 외교와 공무 예외 이외의 모든 일반 비자 발급을 중단시켰다.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더 강력한 비자 제한 조치를 내린 셈이다. 이런 조치는 여러 해석이 있으나 한일 양국 모두 중국인 입국자에게 분류·식별을 위한 표식을 목에 거는 등 범죄자 취급을 했다는 공통점이 가장 두드러진다.
또 다른 시각도 있다. 한국 국회의원이 지난달 타이완을 방문했는데 이게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이다. 한국 경제가 중국에 크게 의존해 공략하기 쉽다는 주장도 함께 제기됐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비자 발급 중단과 관련해 “소수 국가는 과학적 사실과 자국의 감염병 발생 상황을 외면하고 여전히 중국을 겨냥해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고집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에 대해 결연히 반대하고 대등한 조치를 했다”고 말했다.
◆“중국의 맞대응, 유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1일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중국 정부가 한국인의 중국 단기체류 비자를 중단한 것과 관련해 “우리의 방역정책은 어디까지나 과학적 근거에 의한 자국민의 보호의 문제인 만큼 우리의 입장을 잘 설명하라”고 지시했다.
같은날 박 장관은 업무보고를 마친 뒤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중국의 단기비자 발급 조치는 한국 정부가 중국발 한국행 입국자 대상 단기비자 발급을 일부 예외를 두고 제한한 것에 대해 중국 측이 전면 중단으로 맞대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우리는 외교·공무·시급한 기업활동 등에는 사증을 발급할 수 있도록 예외규정을 뒀다”며 “중국은 전면 중단 맞대응 조치를 취한 것에 대해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의 방역조치 결정도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해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메타센서] 4년전 특별세무조사서 800억 폭탄 맞은 빗썸… 이번엔 얼마?
- [메타센서] 당심 1위 나경원, 멀어진 윤심… 이준석의 길 선택할까
- [메타센서] 정부 "실내마스크 착용 조정 논의 시작"… 관건은?
- [메타센서] 안전진단 규제완화·35층 룰 폐지… 서울 재건축 봇물 터지나
- [메타센서] 인터넷속도 느려진 IT 강국?… 잘못된 통계가 원인
- [메타센서] 원희룡 "그린벨트 풀겠다"… 어디를 풀고, 무엇을 할까
- 집값 하락 끝나가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2주 연속 하락폭 둔화
- [2023 부동산 전망 ①] 추락한 집값, 이대로 무너질까 반등할까
- KB국민은행, ‘KB Wallet 전자 구매영수증’ 서비스 실시
- “1만보 걸으면 이자 11%”… 우리은행, ‘데일리워킹 적금 시즌2’
- 하나은행, 독일 헤리티지 펀드 원금 전액 반환 결정
- [메타센서] 윤대통령 UAE·스위스 순방에 재계총수 총출동… 뭐를 이룰까
- [메타센서] 금감원장 "은행 이익 3분의 1은 국민몫"… 은행권 멘붕
- [메타센서] 한우값 폭락에 축산농가 극단선택… 여전히 비싼 이유는?
- 일본, 지난해 무역적자 20조… 사상 최대 규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