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5조8506억원 순익… 윤 대통령 작심 비판
사회공헌기금 규모 확대?… 5000억+@ 조성 의견도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당국에 은행의 막대한 수익을 분배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한 가운데, 어떤 상생방안이 마련될지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달 13일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으므로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은행의 돈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원회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4대 금융그룹(KB국민·신한·하나·우리)이 지난해 사상 최대실적을 기록하고, 성과급을 지급한 것을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은 지난해 금리상승기 국면에서 15조8506억원의 당기순익을 기록해 사상 최대실적을 거뒀다. 이 과정에서 이자 놀이로 막대한 수익을 챙겼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자수익으로 200~300% 성과급 잔치를 벌여 여론도 좋지 않은 상태다.
더욱이 국민·신한·우리은행은 특별퇴직금으로 1인당 평균 3억4400만원에서 4억4300만원을 지급해 눈총을 사기도 했다.
업계는 은행권이 준비 중인 사회공헌기금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국내 은행들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5000억원의 사회공헌기금을 조성해 취약 계층 지원 등에 나설 계획이었다. 윤 대통령의 불호령으로 금융당국에서 기금 규모를 늘리라고 요구할 가능성이 생겼다는 것이 업계의 생각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위의 대통령 업무보고 시기에 은행들이 5천억원 규모의 사회 공헌 기금을 내기로 했는데 불충분하다는 인식이 있었을 수 있다"며 "그 부분도 들여다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 [메타센서] 급박한 로비전… 미 반도체과학법 받아치는 삼성·하이닉스
- [메타센서] 톱스타 유아인 엮은 프로포폴… 왜 여기에 빠져들까?
- [메타센서] K팝 명가의 분열, 이수만 없는 SM의 미래
- [메타센서] 재건축 용적률·연한 다 풀었다… 아파트 부수고 닭장 만드나
- [메타센서] 정권교체 주역 윤석열-안철수, 돌아올 수 없는 강 건너나
- 현대모비스 "성장·주주가치 극대화 둘 다 잡는다"… 중장기 청사진 공개
- 이복현 "은행, 상생 노력 부족… 성과보수 체계 점검하겠다"
- 금융당국, 은행권 신규 플레이어 진입 검토
- '하는 일 없이 고액보수' 금융지주 사외이사… 3분의2 연임될 듯
- 작년 국내은행 당기순익 18조5천억···1조원 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