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올해 부동산 경기 빠르게 둔화… PF 리스크 위험"
잠재위험요인 대비해야… 금감원, 제도 개선 로드맵 준비
증권사 '해외 진출' 필요성도 강조, 새로운 영업 진출 요구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증권사들에게 부동산 PF 부실에 대비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증권사들에게 부동산 PF 부실에 대비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비한 국내증권사들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2일 이 원장은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14개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를 열고 증권산업의 발전방안과 리스크 관리에 대해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최현만 미래에셋증권 대표를 비롯해 장석훈 삼성증권 대표,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 등이 참석했다.

그는 “올해 부동산 경기가 빠르게 둔화하면서 부동산 PF 관련 건전성 리크스가 주요 위험요인으로 대두된다”며 “우리 경제가 재차 도약하기 위해서는 실물경제 지원이라는 금융의 역할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증권사는 잠재위험요인에 대비해 실효성 있는 비상계획을 탄탄하게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갖춘 증권사는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은 취약 부문에 적극 자금을 공급하는 등 시장 안정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금감원도 증권사 유동성․건전성 리스크 발생 원인을 종합 진단해 제도 개선 로드맵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증권사 해외 진출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일부 증권사를 중심으로 해외 현지법인을 설치하고 영업력을 강화하는 추세가 있으나 아직 글로벌 기업금융(IB)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혁신적 금융투자상품 개발과 기업공개(IPO) 기업 발굴, 토큰 증권(ST) 발행·유통 등 새로운 영업으로 진출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IB업무를 통한 고부가가치 사업 역량 강화에 더 많은 자원을 집중해 실물경제의 활력이 제고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라며 “그간 편중된 부동산 투자 등 영업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