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일 동안 2분기 전기요금 결정 공전… '소폭인상' 무게
한전 적자 고려한 인상 가능성↑, 도시가스 요금도 인상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40여일 동안 결정이 미뤄졌던 올 2분기 전기요금이 오는 11일부터 kWh당 7원가량 오를 전망이다.
10일 정치권과 에너지업계 등에 따르면 국민의힘과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는 11일 오전 7시30분 국회에서 전기·가스요금 당정협의를 열고 2분기 요금 인상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당정협의 직후 한국전력과 가스공사의 요금인상 폭 발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전 적자가 심각한 가운데 정부는 그동안 전기요금 인상과 맞물린 물가 상승 우려, 국민 여론 등을 고려해 올 2분기 전기요금 결정을 한 달 이상 미뤘다. 정부 내 최종 의사 결정이 내려지면 관련 절차를 차례로 진행하고 조정된 전기요금이 고시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물가 상승 압력과 국민 경제에 끼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지난해 12월 단행된 1분기 요금 인상(13.1원)보다 소폭 오른 kWh당 7원가량의 인상안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한전 적자가 40조원에 달해 더 높은 인상안이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2분기 전기요금이 인상되면 원가보다 싼 전력 공급이 장기화하면서 국제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2021년과 지난해 각각 5조8000억원과 32조6000억원의 대형 적자를 낸 한전의 자금난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전기요금이 kWh당 7원 오르면 한전이 올 하반기 2조원가량 영업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요금 인상 지연으로 1분기에도 추가로 5조원대 손실이 예고된 상황에서 소폭 인상은 영업 손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는 부족한 수준이라는 평가가 적지 않다.
앞서 정부는 2026년까지 누적 적자 해소 등 한전 경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올해 전기요금을 kWh당 51.6원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1분기 전기요금이 kWh당 13.1원 이미 오른 것을 빼고도 올해 안에 38.5원을 더 올려야 한다는 의미다.
한편 2분기 전기요금이 kWh당 7원가량이 올랐을 때 각 가정은 한 달에 약 2000원가량의 전기요금을 더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분기 전기요금을 인상하면서 지난해 겨울 ‘난방비 폭탄’ 사태 여파로 동결됐던 도시가스 요금도 올릴 예정이다.
- 부영그룹 계열사간 부당지원… 공정위, 과징금 3.6억 '철퇴'
- 아이유 또 표절 논란?… 좋은날·분홍신 등 6곡 고발당했다
- 기준금리 또 오르나… 뉴욕 연은 총재 "인상 끝났다고 한 적 없다"
- 태영호, 윤리위 회의 앞두고 최고위원 자진사퇴 "누 끼쳐 사죄"
- GS건설, 인천 검단아파트 주차장 붕괴 "기둥 30곳 철근 빠졌다" 사과
- "윤대통령 결심" GTX-C 도봉구간 지하화, 추가 비용 5000억은 누가 부담?
- '전기요금 조정안' 발표 또 취소… 다음주로 연기, 막판 의견조율 난항?
- 성북구 장위10구역,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빼고 재개발한다
- 대한주택건설협회 "과도한 학교시설 기부채납 개선해야"
- [CEO투데이] '그린 디벨로퍼' 도전하는 김승모 한화 건설부문 사장
- 이창양 산업장관, "한전 자구책 12일 발표… 전기요금도 조만간 발표"
- 집값 안정세 접어드나… 노원·강남 등 인기지역 상승세 지속
- 부영그룹, '스승의 날' 맞아 보육 교사들에게 앞치마 전달
- DL이앤씨·메이사, 건설 분야 '디지털 트윈' 구축 위한 MOU 체결
- 한전, 1분기 적자만 '6조' 육박… 누적 손실 40조원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