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국정철학 확산 위한 후속 인사 단행 전망도
관료사회 복지부동, 일부 부처는 장관 교체 가능성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새로운 국정 기조에 맞추지 못하면 과감하게 인사 조치하라”고 지시한 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이 교체됐다. 정부 안팎에서는 이번 인사를 계기로 소폭 개각 가능성이 제기된다.
지난 10일 윤 대통령은 강경성 대통령실 산업정책비서관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으로 임명했다. 지난 9일 국무회의에서 장관들에게 “탈원전, 이념적 환경 정책에 매몰돼 새로운 국정 기조에 맞추지 못하고 애매한 스탠스를 취한다면 과감하게 인사 조치하라”고 지시한 지 하루 만이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권이 바뀌었다고 관료사회에 무작정 불이익을 줘서도 안되지만 과거 정부의 잘못된 점은 정확히 인식하고 어떻게 바꿀지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통령 지시 하루 만에 차관급 인사가 이뤄지면서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일선 부처에 확산하기 위한 후속 인사가 조만간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이 과감한 인사 조치를 강조하면서 예로 든 ‘탈원전’ 정책을 산업부 2차관이 담당해서다.
산업부에서 에너지관리과장, 원전산업정책과장, 에너지정책실장 등을 거친 강 신임 2차관은 문재인 정부 당시 탈원전 정책 기조가 이어진 가운데, 원자력발전의 안정적 전력 공급 필요성을 강조한 소신파로 알려졌다. 대통령의 국정기조에 발맞춰 정책 성과와 속도를 내라는 취지의 인사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산업정책비서관으로는 박성택 대통령실 정책조정비서관이 임명됐다. 박 비서관의 이동으로 공석이 된 정책조정비서관 자리에는 최영해 동아일보 콘텐츠기획본부장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안팎에선 지난 1년 동안 관료사회가 복지부동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으로, 일부 부처는 장관 교체 가능성도 제기된다.
- [데스크칼럼] 윤석열 정부, 왜 민심과 멀어졌는가
- 이창양 산업장관, 전기·가스 요금 "조만간 마무리"… 곧 인상 결행할 듯
- 독일은 '스톱' 프랑스·영국은 '고'… 원전 두고 엇갈린 유럽
- 40년 설계수명 종료 고리2호기 '가동중단'… 안전성 점검후 2025년 재가동
- 尹 “탈원전으로 움츠렸던 원전 산업 재도약… 신한울 1호 새로운 시작”
- 마침내 가동 신한울 1호기, 원자로 외벽 두께만 122cm… 폭발에도 견딘다
- '4년 연속'… 삼성전자, 올해도 '시각·청각 장애인용 TV 보급자'
- 3개월 만에 나라살림 적자 54조원… 연간 전망치 93% 육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