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올 6월 지방 저가주택 매수자 7만8459명
총 21만1389건 구매, 매입금액만 33조6194억원 달해
"윤석열 정부 세법 개정안, 투기세력 먹잇감 늘릴 것"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3년 동안 다주택자 8만명이 공시가 3억원 이하 지방주택을 싹쓸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사들인 금액만 34조원에 달한다.
24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월부터 올 6월까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공시가 3억원 이하 주택을 2건 이상 구매한 매수자는 총 7만8459명이다. 이들이 매입한 지방저가주택은 21만1389건으로 금액만 33조6194억원에 이른다.
주택을 2건 이상 구매한 다주택자들이 주축이 돼 공시가 3억원 이하 지방 저가주택을 쓸어담았다는 것이다. 지방 저가주택 구매건수가 2건 이상인 다주택자들의 연령대별 매수건수는 40대가 6만3931건(10조6645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5만5601건(8조1393억원), 60대 이상 4만4598건(6조 3330억원)으로 집계됐다.
자본이 부족한 20대 이하 젊은 층도 지방 저가주택을 사들였다. 20대 이하가 지방 저가주택을 구매한 건수는 8882건으로 금액은 1조3531억원이다. 대부분 부모의 도움으로 돈을 끌어모으거나 갭투자로 자금을 조달한 것으로 보인다.
공시가 3억원 이하 지방주택은 양도소득세와 종합부동산세 산정 때 주택 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다주택자 중과세율을 폐지하는 윤석열 정부의 세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다주택자의 저가주택 싹쓸이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김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다주택자 세금 감면은 결국 지역 저가주택을 투기세력의 먹이감으로 만드는 것”이라며 “부자감세 일변도의 세제 정책을 철회하고 국민들의 주거안정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세심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윤 대통령 호통에 원희룡 "다음달 1기신도시 연구용역 발주"
- 종부세 특례법 상임위 문턱도 못넘었다… 최대 50만명 과세 혼란 우려
- 점점 심각해지는 '깡통전세' 위험… 서울 빌라 전세가율 90% 돌파
- 재건축 플랜 미뤄진 분당·일산 아파트값 '뚝뚝' 떨어진다
- 꽁꽁 얼어붙은 아파트 매수심리… 2년9개월 만에 최저
- 우리은행 "손태승 회장 DLF 소송비 대납 의혹은 '허위'"… 법적 조치 예고
- 탈진 증시 희망된 '태조이방원'… 개미들 구원할까
- 우상호 “감사원 최근 행태, 점입가경… 법적 대응 검토”
- 3년 만의 금융권 공동채용…은행 등 58개사 참여
- 이준석 “뭐가 잦으면 뭐가 나오기 직전… 역사는 반복”
- 정부 vs 론스타… 6조원대 10년 분쟁 31일 결론
- 은마아파트 민원에 GTX-C 우회 검토… '멘붕' 빠진 현대건설
- [내집 마련 캘린더] 가을과 함께 다가오는 '청약타이밍'
- 긴축 공포에 미국 집값 3년만에 첫 하락… 2011년 이후 최대폭
- 연내 3%로 향하는 기준금리… 비틀대는 부동산 이젠 파장인가
- 금리 줄인상 집값 직격...수도권 9년7개월 만에 최대폭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