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수산물·과일·전통간식·마른음식 보관법

[서울와이어 김지윤 기자] 민족대명절 한가위 연휴가 끝나가면서 선물로 받은 음식들을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고민이다. 보관하는 법을 몰라 신선할 때 다 먹으려고 과식을 하거나, 시간이 지나 상해버리는 경우도 생긴다.
대표적인 명절 선물은 육류, 수산물, 과일, 간식, 마른음식 등이다. 오른 물가로 마음껏 장보기도 어려운 이 시점, 집에 들어온 추석선물을 잘 보관했다가 신선한 상태로 꺼내 먹을 수 있으면 어떨까.
◆한우, 시간 지나도 맛있게

명절에는 한우와 같은 소고기를 선물로 주고받는다. 소고기는 온도 변화가 클수록 육즙 손실이 많아지기 때문에 즉시 냉장보관 해야 한다. 한 번 꺼내둔 소고기는 산패가 빨라 그 자리에서 다 먹는 게 바람직하다.
하지만 구이용부터 국거리용까지 다양하게 쓰이는 소고기인 만큼 오래 보관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있다. 소고기를 오래 먹기 위해서는 진공 포장을 해 김치냉장고 0~4도로 2~3주 저장한 후 자연숙성하면 된다.
냉동보관을 할 때는 랩으로 여러번 감싸거나 지퍼백에 넣고 공기를 최대한 빼 수분 증발과 산화를 막을 수 있다. 소고기 부위 중 등심, 채끝, 안심은 구워 먹기에 좋아 자연숙성을 추천한다. 목심과 앞다리는 국거리용으로 적당해 냉동보관을 해도 상관없다.
◆수산물, 냄새 안 배게 보관

굴비나 전복은 신선함이 생명이라는 생각에 이리저리 보관 방법을 찾아보는 사람이 많다. 어떻게 보관해야 촉촉하고 신선한 맛 그대로 먹을 수 있을지가 궁금해서다.
굴비는 내장을 제거한 후 살만 깔끔히 손질해 습기가 안 스미도록 한 마리씩 랩으로 감싸 냉동실에 보관한다. 국거리용 멸치는 종이 타월로 싸서 보관하면 냄새와 수분을 흡수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전복은 냉장‧냉동보관하면 된다. 하루~이틀 안에 먹을 거라면 전복 살을 깨끗이 손질해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보관하면 된다. 1개월 안에 먹을 상황이면 냉동보관하는 게 좋다. 전복 내장은 모래집을 제거하고 냉동보관하면 2~3주 동안은 신선하다.
◆과일, 언제까지나 신선하게

배는 씻지 않고 신문지에 하나씩 싼 후 냉장고에 보관하면 된다. 배를 내려 놓는 냉장고 바닥에도 신문지를 깔아 주변 습기를 제거하면 더 신선히 보관할 수 있다.
사과는 에틸렌가스를 방출하기 때문에 같이 보관한 다른 과일을 빨리 익게 한다. 따라서 별도 보관해야 하며 상처난 사과는 바로 치워야 한다. 냉장고 야채칸‧김치냉장고 냉장칸 0~1도 온도가 적당하며 한 두개씩 비닐 포장하면 수분을 보호할 수 있다.
귤은 공기가 안통하는 냉장고에 넣으면 신맛이 나니 3~4도 상온보관이 좋고 통풍이 잘 돼야 하며 바닥이 딱딱하면 쉽게 무른다. 그래서 수분을 흡수하고 통풍이 잘 되며 바닥 완화 역할의 신문지를 도톰히 깔아 달라붙지 않게 배치하면 좋다.
감은 실온보관 시 신문지로 감싸 서늘히 보관하면 된다. 냉장보관 시 신문지로 감싸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한다.

덜 익은 망고는 상온에서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완숙 망고는 신문지로 싸서 냉장고에 보관해 3~4일 안에 먹는다. 냉동보관을 하려면 후숙 망고을 썰어 냉동하면 된다.
포도는 습기에 약해 상온에서 냉장고로 들어가면 안좋으니 키친타월이나 신문지로 감싸서 넣어야 한다. 더 확실히 보관하고 싶으면 그 위에 위생봉투에 넣어 보관하면 좋다.
오렌지는 신문지에 감싸 서늘한 실온에 보관하면 된다. 냉장보관을 하면 더 오래 즐길 수 있다. 신문지로 감싼 오렌지를 냉장고 야채칸에 보관하면 된다. 약 2주 안에 먹어야 하며 냉동 보관시 알맹이만 밀폐용기에 1달간 보관할 수 있다.
◆전통 간식, 끝까지 맛있게

곶감은 대한민국 국민 간식이자 추석의 아이콘이다. 곶감은 당장 먹는 게 촉촉한 수분이 돌아 제일 맛있다. 천천히 먹을 생각이라면 냉동실에 보관하는 걸 추천한다. 수분이 많고 당분이 높아 쉽게 곰팡이가 쓸기 때문이다. 냉장실에서도 곰팡이는 피하기 힘들다.
곶감을 냉동보관을 할 때는 한 번에 먹을 만큼만 나눠서 플라스틱 밀폐용기에 소포장 보관하면 좋다. 밀폐용기가 없다면 비닐봉지로 겹겹이 포장해야 된다. 냉동실에 넣으면 수분이 적어지면서 흰색 분이 생길 수 있는데 자연적인 현상이다.
한과는 바삭한 맛이 일품인 간식이다. 한과는 공기 중에 두면 바삭함을 잃으니 보관할 때 공기를 차단하는게 중요하다. 먹고 남은 한과는 봉지에 넣고 입구를 단단히 봉해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유과도 마찬가지다.
약과는 조청과 물엿의 코팅효과로 공기와 직접 닿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냉장보관을 하면 오래 먹을 수 있다. 직사광선을 피해 냉동실에 얼려놓았다 먹어도 상관없다.
◆마른음식, 향 그대로 바삭히

견과류는 진공포장해 냉장고에 보관 해야한다. 견과류를 실내 보관하면 아플라톡신이라는 독성 물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아플라톡신은 고온다습한 상황에 생기므로 특히 기온이 높아지는 계절 상온보관 시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김은 국민 밥 반찬이다. 기본적으로 김은 습기와 빛에 약하니 습하지 않고 어두운 곳에 보관해야 한다. 김을 보관할 때 밀폐용기 바닥에 키친타올을 깔고 김 포장용기 안에 들어있는 방습제 ‘실리카겔’을 넣어 두면 좋다.
또한 김은 냉동실에서 상온으로 가는 사이 눅눅해지는 성질이 있으니 냉장보관이 좋으며 김 맛의 핵심인 참기름과 옥배유(옥수수 씨눈 기름)가 고르게 펴지도록 눕혀 보관해야 한다.
- 바인그룹, 추석 앞두고 지역사회발전 위해 농산물 구매 앞장
- DL이앤씨, 추석 전 협력사 거래대금 2100억원 조기 지급
- 광주시, 추석 명절 앞두고 ‘청렴 실천 캠페인’
- 슈퍼태풍 힌남노에 택배 스톱?...택배노조 '일부업무 중단' 요구
- [힌남노 광란] 추석 대목 민생경제 '쑥대밭'…과일·채소값 폭등 가능성
- [포토] 추석 현찰 돌린다...한은 '자금 방출합니다'
- 연휴 마지막날 귀경길, 아직 '원활'… 부산→서울 5시간
- 추석 연휴 지나도 물가 걱정… 라면값 줄줄이 인상 예고
- 이대서울병원, 국내 최초 '이토스' 장비 도입
- 올해 트윈데믹 이겨내면 다가올 봄은 노마스크?
- "바이오도 미국서 생산"… 국내 바이오업계 타격 예상
- 'K-디지털헬스케어 서밋' 30일에 열려… 네이버·카카오 출동
- 배추값 폭등에 수입김치 천하될 듯… 토종 김치 사라지나
- 질병청 "마스크 완화 검토… 실외마스크 완전 해제가 우선"
- 혼란스러운 '만 14세 미만' 마스크 착용… "의무? 예외?" 정답은?
- 비아그라 먹고 11살 성폭행 한 80대 남성 '징역 20년' 구형
- 2040 여심 훔친 제약업계, 비결은 '먹는 화장품'
- 블랙핑크, K팝 걸그룹 첫 '빌보드 차트 1위'...10월 15일 월드투어 대장정
- 옛날이나 지금이나… 제약사 광고에 '빠져드는' 이유
- 물가부담에도 추석 선물세트 예판 '역대급'…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