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제품 라인업 확대·아메리칸 브랜드 입지 강화
르노코리아·기아, 원활한 부품 조달 위한 안정적 생산체계 구축
현대차,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 전년 대비 65.8%↑… 후속 모델 준비

지난해 국내 완성차업계 5곳은 해외시장에서 전년보다 판매량이 늘어난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이태구 기자
지난해 국내 완성차업계 5곳은 해외시장에서 전년보다 판매량이 늘어난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글로벌 자동차시장 수요 회복으로 지난해를 버틴 국내 완성차업체들이 올해 제품라인업 확대와 안정적인 생산체계를 구축하며 내수 회복에 나선다.

◆쌍용자동차, 지난해 해외 판매 61%↑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완성차업계 5곳은 해외시장에서 전년보다 판매량이 늘어난 성적표를 받았다.

현대자동차는 지난해 해외시장에서 전년 대비 2.9% 늘어난 325만5695대를 팔았다. 판매 믹스 전략과, 인센티브 개선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같은 기간 기아는 전년 대비 4.6% 증가한 290만 3619대를 판매했다. 스포티지가 해외시장에서 40만대 이상 팔리면서 판매실적을 견인했다.

한국GM은 지난해 해외에서 전년 대비 24.6% 늘어난 22만7638대를 팔았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가 해외에서 16만대 이상 팔리면서 효자 노릇을 했다.

르노코리아자동차는 지난해 수출이 63.3% 늘면서 해외에서만 11만7020대를 팔았다. XM3 판매량 크게 늘었다. 하이브리드 모델을 중심으로 전년보다 74.8% 증가한 9만9166대가 팔렸다.

쌍용자동차의 지난해 해외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1%로 대폭 늘었다. 뉴 렉스턴 스포츠&칸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팔리면서 해외 판매를 견인했다.

◆내수,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 모두 감소

지난해 수출이 크게 늘어난 반면 내수는 오히려 줄었다. 국내 완성차업계 5곳 중 쌍용자동차를 제외한 네 곳은 반도체 수급 불안정 등 요인으로 국내 판매가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 판매량을 살펴보면 쌍용차는 전년 대비 21.8% 증가한 6만8666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한국GM 내수는 31.4%, 르노코리아자동차는 13.9%,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5.2%, 1.1% 줄었다.

이에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올해 내수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국내 판매량이 68만8884대에 그친 현대차는 올해 전기차 후속모델 출시 등 친환경자동차 내수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국내시장에서 전기차 모델의 성장세를 확인했기 때문이다.

현대차의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65.8% 늘어난 7만372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6를 찾는 소비자가 많았다. 현대차는 국내 판매량 확대를 위해 후속 전기차 모델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지난해 국내 판매 54만1068대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1.1%에 그친 기아는 원활한 부품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고객 니즈를 반영한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물류 대란 등 어려운 경영환경으로 녹록지 않은 한 해를 보냈다"며 "올해는 안정적인 생산체계를 유지하면서, 고객 니즈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솔루션 개발로 신규 고객 발굴을 본격화하겠다"고 말했다.

◆업계 “내수 회복 위해 안정적 부품 수급 총력”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를 찾는 소비자가 줄어든 영향으로 가장 큰 국내 판매량 감소폭을 보인 한국GM은 올해 제품 라인업 확대로 내수 회복에 나선다.

한국GM 관계자는 "쉐보레 브랜드와 또 하나의 글로벌 GMC 브랜드로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차별화된 제품 라인업과 아메리칸 브랜드 입지 강화로 국내시장 판매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르노코리아는 올해 반도체 수급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인다. 4일 르노코리아는 출시 전 5000여대의 사전 계약을 기록했던 XM3 E-Tech 하이브리드의 경우, 올해 반도체 부품 공급 부족이 해결되면서 본격적인 판매가 이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내수 회복을 위해 원활한 반도체 수급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내 완성차업체 중 유일하게 지난해 국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늘어난 쌍용차는 토레스 판매 호조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 기간 토레스 판매 물량은 전년 대비 21.8% 증가했다.

쌍용차 관계자는 "지난해 내수 판매가 늘었으나, 부품 수급 제약으로 생산 중단까지 겪었다"며 "부품 업체와의 긴밀한 협력과 안정적인 생산체계 구축으로 시장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보인 토레스를 원활히 공급해 국내 시장점유율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