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결함… '리콜' 표현 부적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결함에 ‘리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건 시대착오적이며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일론 머스크 트위터 캡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결함에 ‘리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건 시대착오적이며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일론 머스크 트위터 캡처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운전자보조기능 결함으로 미국에서 전기차 36만2758대를 리콜한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이번 리콜이 완전자율주행(FSD·Full Self-Driving) 소프트웨어 결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 상태에서 테슬라 전기차가 속도 제한을 초과하거나 교차로를 무단 통과해 충돌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점을 확인했다고 NHTSA는 밝혔다.

일단 정지해야 할 교차로에서 차가 완전히 멈추지 않거나 노란색 신호등이 켜진 상황에서 교차로를 통과하는 문제가 지적됐다. 

리콜 대상 차량은 FSD 베타 버전을 장착하거나 탑재할 예정인 2016∼2023년형 모델S와 모델X, 2017∼2023년형 모델3, 2020∼2023년형 모델Y다. 테슬라는 문제 해결을 위해 해당 전기차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무선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해결될 결함에 ‘리콜’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건 시대착오적이며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불편한 심기를 표했다.

NHTSA는 자동화시스템이 사용된 것으로 의심되는 35건의 테슬라 충돌 사고에 대한 조사도 진행 중이다.

이날 리콜 소식이 전해지면서 테슬라 주가는 전장 대비 5.69% 하락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