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서 '기준금리 결정'
한미 기준금리 격차 더 벌어질 수도… 내부의견 팽팽

이창용 총재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제공
이창용 총재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지난해부터 잇따라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오는 23일 금융통화위원회 결정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통위는 오는 2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은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등으로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물가가 급등하자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렸다.

지난해부터 한국은행은 7차례나 기준금리를 올렸고 금리는 10년 만에 3%대를 돌파했다. 한국경제는 지난해 4분기 역성장세를 나타냈고 경기지표도 나빠지는 만큼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여전히 5%대가 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1.25%포인트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 등을 고려해 금리가 더 인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만약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달 빅스텝(기준금리 0.50% 인상)을 단행한다면 최종 금리는 5.25~5.5%로 높아진다. 이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 간의 기준금리 격차가 최대 2.5%포인트까지 벌어질 수 있다. 금리격차가 더욱 벌어지면 외국자본이 수익률이 높은 쪽으로 대거 유출되면서 원화가치도 떨어진다.

이에 금통위 내부에서는 금리를 더 올려야한다는 의견과 3.5%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중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열린 금통위 직후 “이번 회의에서 금통위원 3명은 최종금리를 3.5%로 보고 나머지 3명은 최종금리를 3.75%로 열어뒀다”고 말했다.

그만큼 기준금리를 어떻게 결정할지 고민이 크다는 의미다. 그나마 경기 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인상을 단행할 기회일 수도 있다. 하지만 추가 금리인상이 국내 경제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와 한은은 꽤 머리가 아플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