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면값 줄인상… 한 그릇 '1만6000원' 시대
인건비·고정비뿐 아니라 메밀값 오른 영향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서울 유명 냉면 식당들이 일제히 가격 인상에 나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업주들은 지속되는 물가 상승에 부득이하게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3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벽제가 운영하는 냉면 전문점 봉피양은 지난달 20일부터 평양냉면과 비빔냉면의 가격을 기존의 1만50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6.7% 인상했다.
가격을 인상한 곳은 봉피양뿐만이 아니다. 서울 중구 충무로 필동면옥도 올 초 냉면 가격을 기존 1만3000원에서 1만4000원으로 인상했다. 봉피양과 필동면옥은 2년 연속 1000원씩 가격을 올렸다.
서울 염리동에 본점을 둔 을밀대 역시 올 초 2년 만에 가격 인상을 했다. 을밀대의 물냉면과 비빔냉면 가격은 각각 기존의 1만3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2000원 인상됐다. 서울 내 상당수의 유명 냉면집들이 냉면 한 그릇 가격을 1만5000원이상으로 책정한 셈이다.
하지만 소비자들 입장에서 한 그릇에 1만5000원을 뛰어넘는 냉면 가격은 부담스럽다. 매년 오름 추세를 보이는 냉면값은 여름철 보양식으로 즐겨먹는 삼계탕과 비교해도 가격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비싼 상황이다.
냉면과 함께 누들플레이션(누들+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품목은 대표 서민음식인 자장면이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자장면은 6723원으로 전년(5769원) 대비 16.5%나 올랐다.
같은기간 냉면은 1만692원으로 7.3% 인상됐다. 업주들은 밀가루·계란 등 식자재 가격과 인건비, 전기·가스비 등 고정비가 올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 평양냉면 업주는 “평양냉면은 한우로 육수를 내고 메밀이 80%이상 들어가는데 최근 메밀가격이 많이 올랐다”며 “식재료 값도 문제지만 인건비와 가스요금, 전기료 등이 계속 치솟고 있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메타센서] 뒤늦게 국회문턱 넘은 K칩스법, 반도체 '초격차' 도움될까
- [메타센서] DB하이텍 물적분할 확정… 상장 안한다지만 믿을수 있나
- [메타센서] KT 어떻게 되나… 박종욱 대표대행 '비상경영' 체제
- [메타센서] 셀트리온 서정진 차남 실종, 셀프신고 해프닝… "정서적 불안증세" 뭘까?
- [메타센서] 금융불안에 금값 '고고'… 장롱반지 꺼내 팔아야하나
- [메타센서] KT CEO후보 연이어 날린 '보이지 않는 손'… 결국 '그분'이 되나
- [메타센서] 고심에 빠진 이재용… 중국 반도체사업 어떻게 이끌까
- [메타센서]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이냐? 동결이냐?"
- 삼성전자, BIE 실사단 방한에 부산서 '엑스포 유치' 열기 띄운다
- [메타센서] 7개국 문턱 넘은 한화·대우조선 합병, 공정위가 발목… 무슨 일?
- [메타센서] 마침내 코스피 2500선 안착… 1분기 '어닝쇼크'가 호재?
- [메타센서] '실적 반토막' 포스코 핵심임원에 100억 성과급 논란… 최정우 회장 7억
- 여름 보양식 삼계탕, 금계탕이라 아우성… 도대체 얼마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