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전국 34곳 분양단지 중 13곳만 1·2순위 내 청약마감
서울 3곳 '완판', 수도권은 미달폭탄… 지방 6개지역 모두 미달
서울·지방 분양시장 양극화현상 심화… 지방 폐업건설사 급증
"지방 건설사들,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아… 규제완화 절실"

서울과 달리 지방 분양시장의 침체기가 지속되면서 건설사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과 달리 지방 분양시장의 침체기가 지속되면서 건설사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최근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청약시장도 혼란이 가중됐다. 미분양 우려도 커지는 가운데 완판행진을 이어가는 서울과 달리 지방의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건설사들의 입지가 불안해지는 모습이다.

17일 부동산R114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청약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국 올 1분기 분양단지 34곳 가운데 1·2순위 내에 청약이 마감된 곳은 13곳으로 38.2%에 그쳤다. 21개 단지(61.8%)는 2순위에서도 모집가구수를 채우지 못해 단지 수 기준 미달을 나타냈다.

지난해 1분기 87개 단지 중 21개 단지(24.1%)만 미달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미달비율은 70%(84곳)에 달했다. 다만 올 1분기 서울은 3곳에서 분양이 이뤄졌는데 모두 순위 내 마감에 성공하며 완판됐다.

일반분양된 3개 단지는 총 393가구로 총 2만2401명이 신청해 청약 경쟁률이 평균 57대 1에 달했다. 반면 경기도는 올 1분기 8개 단지가 분양됐으나 75%인 6개 단지가 미달됐고 인천도 분양된 5개 단지 가운데 1개 단지만 마감되면서 미달비율이 80%를 넘었다.

지방은 더 심각했다. 대구와 경북, 전남, 전북, 제주, 충남 등 6개 지역은 올 1분기에 각 1개 단지씩 분양됐지만 모두 미달됐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규제를 완화한 서울의 인기는 커지는 한편 비교적 소외된 지방은 아직도 수요자들을 매료시키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지방과 수도권의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청약심리가 살아나지 않는 모습”이라며 “정부의 대대적인 규제완화 이후 일부 반등 조짐을 보이는 곳도 있으나 여전히 집값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경기 침체도 지속되면서 청약을 미루는 수요자가 늘었다”고 말했다.

서울과 지방 주택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건설업계의 긴장감도 고조되는 분위기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 1분기 폐업한 종합·전문건설업체는 926개다. 이 중 지방에서 551개(59.5%) 건설사가 폐업신고를 했다.

대형 건설사는 자체 보유한 현금으로 버틸 수 있으나 중소 건설사는 비교적 무너지기 쉽다. 경기침체와 더불어 금리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 원자재 가격 상승, 관망세 지속 등이 폐업의 대표적인 이유로 꼽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과거부터 지방을 공략했던 건설사들을 제외하면 상황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 수요자들의 인식이 한 번에 바뀌기도 쉽지 않다”며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은 지방 건설사가 많다. 서울도 중요하지만 지방의 미분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이 빠르게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