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바이오항공유 실증 사업 진행, 2026년 국내 도입 추진
SFA 사용 의무조항 대응… 지난해 쉘과 SAF 구매 업무협약 체결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대한항공이 GS칼텍스 등과 이르면 다음 달 바이오항공유 실증사업에 착수할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대한항공과 GS칼텍스, 석유관리원과 다음 달 실증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바이오항공유 실증 사업을 진행하고 2026년에 국내 도입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국제 환경 규제가 강화돼 바이오항공유 도입 등에 본격 나섰다. EU 집행위원회와 이사회, 유럽의회는 지난달 26일 지속가능 항공유(SAF) 사용을 의무화하는 '리퓨얼EU'(REFuelEU) 법안의 최종 타협안에 합의했다.
SAF는 폐식용유와 동식물성 기름, 사탕수수 등 바이오 대체 연료를 사용해 생산한 항공유로 기존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을 8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부터는 EU 27개국에서 이륙하는 모든 비행기는 항공기에 급유할 때 기존 항공유에 SAF를 최소 2% 이상 섞어야 한다.
이에 대한항공은 국제편 항공기에 연료를 투입해 시범운항을 시행하는 등 실증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2017년 11월 국내 최초로 시카고~인천 노선에 SAF를 시범 사용했다. 지난해 2월에는 파리~인천 구간 정기편 노선에 SAF를 도입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쉘과 SAF 구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2021년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 항공유 사용기반 구축을 위한 MOU를 맺었다. SK에너지로부터는 국내선 항공편에 사용될 탄소중립 항공유를 구매했다.
GS칼텍스는 해외 바이오항공유를 도입해 기존 항공기 연료에 섞어 대한항공에 공급한다. 정부는 바이오항공유 실증 사업과 연내 발전용 바이오중유와 바이오선박유 실증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 김기현 "이재명의 '김남국 일병 구하기' 의문… 제명 적극 나서야"
- 정부, 전세사기 피해자 위한 '최우선변제금 무이자대출' 추진
- 한미일 정상회담… 바이든 "한일 관계개선 용감한 노력에 찬사"
- 공정위, '일감 몰아주기' 등 총수 일가 사익편취 심사지침 개정한다
- 최근 5년 코인 관련 불법행위 피해액 무려 5.2조… "신속한 수사 필요"
- [날씨] 서울 낮 최고 27도 '초여름' 날씨… "전국 미세먼지 주의해야"
- 전우원 큰아버지 전재국 "넌 더이상 조카 아냐, 약 끊고 제대로 살아라"
- 윤 대통령, 젤렌스키와 첫 정상회담… '필요물품 지원' 약속
- 아이유 손목 잡은 대만 인플루언서 재차 사과 "내가 잘못했다"
- 플라이강원, 너무 무리했나… 'LCC 축제' 속 기업회생 신청 추진
- 압구정현대·개포주공·서초신반포… 강남 아파트 재건축 큰장 선다
- '무인정찰기 추락사고' 대한항공, 정부 상대로 2심도 승소
-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글로벌 항공업계의 리더로 '우뚝'
- 결국 다시 오를 수밖에 없는 '항공권 가격' 비밀
- "맛·건강 모두 잡는다"… 식물성 대안식 공들이는 식품업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