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쌍방울그룹 각종 비리 의혹의 핵심 인물
변호사비 대납 의혹 등 이재명 수사 급물살 탈듯

태국에서 체포된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자진귀국을 결정하면서 쌍방울 관련 각종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사진=쌍방울그룹
태국에서 체포된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자진귀국을 결정하면서 쌍방울 관련 각종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사진=쌍방울그룹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태국에서 체포된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자진귀국을 결정하면서 쌍방울 관련 각종 의혹 수사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전날 태국 법원에서 열린 재판에서 불법체류 신분을 인정하고 자진귀국 의사를 밝혔다.

당초 그는 이날 오후 입국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다음 주 초쯤 귀국할 것으로 보인다. 태국 현지에서 긴급 여권을 발급받는 데까지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이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대로 신병을 확보해 여러 의혹을 조사할 방침이다.

김 전 회장은 현재 수원지검이 수사 중인 쌍방울그룹 각종 비리 의혹의 핵심 인물이다. 그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을 비롯해 배임, 자본시장법 위반, 대북송금,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변호사비 대납 의혹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변호사비 대납 의혹’이 주목받는다. 변호사비 대납 의혹은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로 재임 중이던 2018년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맡은 변호인들에게 쌍방울그룹 전환사채 등으로 거액의 수임료가 대납됐다는 내용이다.

그간 쌍방울 수사는 김 전 회장이 해외로 도피하면서 좀처럼 진척이 이뤄지지 않았다. 앞서 구속 기소된 관련자들도 관련 혐의를 부인하는 상황이었다. 무엇보다 정치권의 이목이 쏠려 있는 이 대표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 규명을 위해선 김 전 회장의 진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김 전 회장은 이 대표와 쌍방울그룹의 유착 관계에 대해 제기된 의혹의 키맨으로 불린다. 그는 이 대표의 최측근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를 2011년 10월부터 2017년까지 고문으로 위촉해 급여 1억8000여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5년 5월부터는 법인카드도 함께 제공했으며 고문 계약이 끝난 2017년 3월부터는 사외이사로 영입해 총 38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 부지사는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로 당선된 이후 인수위원회 기획운영분과위원장을 맡았고 이후 2018년 8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기도 평화부지사로 재직했다. 현재 이 전 부지사는 재직 당시 쌍방울그룹 대북사업 편의를 봐준 대가로 뇌물을 수수한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여당에서는 이런 내용 등을 토대로 이 대표와 쌍방울 사이에도 유착 관계가 있을 수 있다며 공세를 퍼붓고 있다. 김 전 회장 측은 자진귀국 방침을 알리며 적극적인 수사 협조의 뜻을 전했다.

쌍방울그룹은 공식 보도자료를 내고 “김 전 회장은 즉시 귀국해 성실히 조사에 임할 예정”이라며 “사건의 진실이 밝혀질 수 있도록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전 회장은 지난 10일 오후 7시30분(한국시각)쯤 태국 빠툼타니에 있는 한 골프장에서 현지 이민국 검거팀에 붙잡혔다. 그는 지난해 5월 말 검찰의 압수수색을 앞두고 싱가포르로 출국한 뒤 태국으로 거처를 옮겨 8개월 가까이 도피 중이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