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 리터 당 '30.5원 인상'
출고가 인상 이어질 가능성↑, 소주 원가부담 가중
고물가 지속돼 식당서 소주 1병 '6000원' 지불 전망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는 소주와 맥주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 또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19일 기획재정부와 주류업계 등에 따르면 올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지난해보다 리터(L)당 30.5원 올라 885.7원이 되면서 지난해 L당 20.8원 오른 것보다 세금 인상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맥주 세금 인상은 통상 주류회사의 출고가 인상으로 이어진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전기료 등이 계속 오르는 것도 맥주 출고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소주는 맥주처럼 주세가 인상된 것은 아니지만 원가 부담이 출고가 인상을 압박하는 중이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만든다.
10개 주정 회사가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에서 독점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값을 7.8% 올렸고 제병 업체의 소주병 공급 가격은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 넘게 올랐다. 주류회사들이 2년 연속 출고가 인상을 결정하면 마트나 식당에서 파는 소주 가격은 더 큰 폭으로 오르게 된다.
지난해 1병 출고가가 85원가량 올라 마트와 편의점 판매 가격은 100∼150원이 인상됐다. 지난해 외식산업연구원이 일반음식점 외식업주 130명을 조사한 결과 55.4%가 소주 출고가 인상에 따라 소주 판매가격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라고 답했다. 이미 올린 업주들은 병당 500∼1000원을 인상했다고 응답했다.
올해도 비슷한 추세로 출고가가 오르면 식당에서 소주 1병에 6000원을 내고 마셔야하는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 일부 주류업체들은 아직 출고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상태지만 물가가 급등해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한편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전년보다 5.7% 올랐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11.5%)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주는 7.6%, 맥주는 5.5% 비싸졌다. 소주는 2013년(7.8%), 맥주는 2017년(6.2%) 이후 각각 최고 인상률을 기록했다.
- 세계 매료시킨 아이오닉 5, 독일·캐나다서 '호평가'
- 북한, 또 ICBM 도발...사정 1만4000km 미 본토 전역 도달 가능
- 골드만삭스 "美, 올해 금리 세 차례 더… 최고 5.5% 전망"
- [유통정보통] "봄기운 물씬~" 핑크색으로 갈아입은 식품업계
- [내집 마련 캘린더] 주거 장만 꿈 이뤄줄 '라스트 찬스'
- 갈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여파… 어린이집 8000곳 '눈물의 폐업'
- 퇴근까지 기다리며 동료 간호조무사 스토킹한 70대 전직 약사
- 북한 김여정 "남조선 상대할 의향없어… 서울 겨냥한 ICBM 없을 것"
- MBC 박성제 사장 '연임 무산'... 최종후보자 2인 안형준·허태정
- 눈건강·컬러 다잡은 QD-OLED… 삼성디플, '아이세이프 인증 2.0' 획득
- 추경호 "세금 좀 올랐다고 주류값 올려야 하는지 업계와 얘기"
- 정부, 주류업계 실태조사 착수… "소주값 잡힐까?"
- 수입맥주는 오르는데… 국내맥주는 정부 압박에 '속앓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