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회장 모친·두 여동생 ‘상속재산 재분배’ 주장
현 상속법 적용시 세 모녀 지분 약 14%로 확대
재계 "소송 결과에 따라 경영권 분쟁 가능성 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모친과 여동생들로부터 상속회복청구 소송을 당했다. 집안 내 유산 싸움이 예고된 가운데 일각에선 소송이 경영권 다툼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등 구 회장은 취임 5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았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구 회장 어머니인 김영식 여사와 여동생인 구연경 LG복지재단 대표, 구연수씨는 총수인 구 회장을 상대로 상속재산을 다시 분할하자는 소송을 제기했다. 고 구본무 선대 회장이 남긴 재산은 LG 주식 11.28%를 비롯한 총 2조원 규모로 알려졌다.
앞서 구 회장의 어머니 김 여사와 두 여동생은 LG 주식 일부(구연경 2.01%, 구연수 0.51%)와 선대회장의 개인 재산인 금융투자상품, 부동산, 미술품 등을 포함해 5000억원 규모의 유산을 상속받았다.
그간 LG그룹은 75년간 ‘장자승계’ 원칙을 가풍으로 지켜왔지만, 결과적으로 세 모녀의 소송으로 집안에 분열이 일어났다. 문제는 소송 과정에서 법원 측이 원고의 손을 들어줄 경우다. 결과에 따라서 경영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세 모녀는 상속에 있어 절차가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구 선대회장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별도 유언이 없었기 때문에 통상적인 법정 상속비율에 따라 상속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LG 측은 원칙과 전통에 따라 경영권 관련 재산인 지분 모두는 구 회장에게 상속되는 게 맞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현행 상속법상에선 생존 배우자는 자녀보다 1.5배 더 많이 재산을 받도록, 자녀들의 경우 나머지를 똑같은 비율로 나눠갖게끔 규정돼 있다.
법을 적용하면 LG의 최대주주인 구 회장의 보유 지분율이 기존 15.95%에서 9.7%로 줄어들며, 김 여사를 포함 두 여동생의 지분은 14.09%로 증가하게 된다. 경영권 다툼에 여지가 충분한 상황이 만들어지는 셈이다.
당장 구 회장과 LG는 “선대회장이 남긴 재산에 대한 상속은 고인 별세 이후 5개월 동안 가족 간의 수차례 협의를 통해 법적으로 완료된 지 4년이 넘어 이미 제척기간(3년)이 지났다. 이제 와서 문제를 제기한 데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 회장은 소송뿐 아니라 최근 핵심 계열사인 LG전자 실적 악화와 글로벌 경제 복합위기로 고심하고 있다. 재계에서도 이와 관련 LG가 여성들의 상속재산 재분배 소송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구 회장에게 취임 후 가장 큰 위기가 닥친 것으로 평가한다.
재계 관계자는 “김 여사와 두 여동생이 소송 이유에 대해 경영권 흔들기가 아니라고 밝혔음에도, 이유를 불문 앞으로 그룹 경영권을 놓고 법적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과거 상속 합의 과정에서 문제가 있었는지 규명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LG家 세 모녀의 반란?… 구광모 측 "경영권 흔들기, 용인 못해"
- 대기업, 경기한파 속 배당금도 낮췄다… LG생건 등 '반토막' 이상 줄어
- "땡큐 토닉워터" 하이트진로음료, 작년 영업익 116% 증가
- 국민연금 SVB 주식 10만주 물렸다… '휴지조각' 가능성
- '하는 일 없이 고액보수' 금융지주 사외이사… 3분의2 연임될 듯
- 하락장 속 100% 이상 치솟은 에코프로비엠 주가… 더 오를까
- [CEO투데이] '물류 혁신' 조현민 한진 마케팅 총괄사장… 보폭 어디까지 넓히나
- [CEO투데이] 동서식품 새 사령탑, 김광수 부사장의 체질개선 시나리오
- [CEO투데이] 재신임 받은 전영묵, 삼성생명 비전 2030 탄력
- 구광모의 야무진 바이오굴기… '꿈의 항암제' 나오나
- [CEO투데이] '매출 4조' 휠라 부활 이끈 윤근창 대표
- 구광모 LG 회장, 모친·여동생 상속지분 분할 소송에 "요건 못갖췄다"
- 구광모 LG 회장 "상속세 과도히 납부돼"… 세무당국 상대로 소송
- LG전자 3년 연속 최대 매출액 경신… 영업익 3조5485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