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수주 잔고 확보에도 현장서는 우려↑
올해부터 조선사 부족 인력 1만명 육박할 듯
임금체계 개선·복지 향상 등 인재확보 '총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고질적인 인력난 속 국내 조선업계가 글로벌 수주전에서 우위 확보를 목표로 우수인재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각사별로 수주 낭보가 잇따라 전해지고 있으나, 사람이 없어 배를 제때 만들 수 있을 지 의문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사들은 수주 폭탄이 이어지면서 인력 채용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몰려드는 일감 등에 따라 선제적인 기술개발을 비롯한 전 부문의 걸친 부족 인력을 채우려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업계 전반이 비슷한 상황이어서 인력 충원이 쉽지 않다. 이는 조선사들의 경쟁력이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올해부터 부족한 인력은 연평균 1만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그간 조선 빅3는 수주 호황에서 2~3년간의 대규모 수주잔고를 쌓았으나, 정작 현장엔 일손이 없다.
당장 각사는 외국인 인력 모시기에 나서며 일손 충원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인력을 확보해도 고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잦은 이탈이 발생, 선박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조선업계는 인력을 잡아두기 위해 사내 복지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또 업황이 살아나면서 임금체계도 대폭 개선하는 동시에 정착금 지원 등도 제시하고 있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법무부는 외국인력 도입 제도를 개선해 올 1분기까지 5000명이 넘는 외국인 인력을 추가로 확보했다.
전문인력(E-7) 비자 발급 절차도 간소화해 현장 투입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줄였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도 이른 시일 내 구인난을 겪는 조선업종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등 글로벌시장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선 현장뿐 아니라 고급 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며 “올해를 시작으로 연구개발 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책도 추가로 마련하는 등 수주 경쟁력 강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 [산업 이슈 픽] 가전시장 혹한기, 해외서 답 찾는 삼성·LG
- [산업 이슈 픽] 뜨거운 날씨엔 냉방제품, 올해도 에어컨이 대세?
- [산업 이슈 픽] 가격 바닥 확인됐나… 메모리반도체 반등 기대감
- [산업 이슈 픽] K배터리, 중국 '리오프닝' 기대 이면엔 근심 가득
- [산업 이슈 픽] 전동화 '가속페달' 정의선… 다음은 로봇 대중화?
- '겹호재' 맞은 조선업계, '흑자달성' 자신감↑
- 전기료 인상 막힌 한전, 적자 탈출구는?
- 한화오션·HD현대중공업, '차세대 군함' 수주경쟁 본격화
- [산업 이슈 픽] 초대어 'HMM' 연내 매각 가능성은?
- [산업 이슈 픽] 삼성·LG, 하반기 초대형 TV로 '진검승부'
- 삼성중공업, 한 번에 4조원 컨테이너선 16척 수주… 사상 최대
- 막오른 임단협 시즌, 조선 수주호황 발목잡나
- [산업 이슈 픽] "반도체 바닥 찍었다"… 하반기 '업턴' 가능성 솔솔
- 나올 기업 다 나왔나… 'HMM 인수전' 향방은?
- [산업 이슈 픽] 국내 철강사, 2분기 실적 개선… 다음목표는?
- [산업 이슈 픽] 들썩이는 유가, 한전 3분기 손실 다시 커지나
- 조선업계 임단협 희비, 한화 '조기 타결'… HD현대는 '난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