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우리나라가 발사한 달 궤도선 '다누리'(KPLO)가 594만㎞를 날아간 끝에 17일 새벽 달 궤도 진입을 시작했다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밝혔다. 8월 5일 미국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발사체로 발사된 지 135일 만이다.

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이날 오전 2시 45분쯤 달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1차 달 임무 궤도 진입 기동(LOI)을 했다. 이번 기동은 다누리가 달을 스쳐 지나가지 않고 달 중력에 안정적으로 포획돼 궤도를 그리며 공전할 수 있도록 속도를 줄이는 작업이다. 

진입 기동은 다누리에 미리 보내둔 명령을 정해진 시점에 자동 실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약 13분간 추력기를 가동해 다누리의 속도를 시속 8000㎞에서 7500㎞까지 감속했다. 속도를 줄이는 방법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추진제인 하이드라진을 분사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항우연 연구진은 원활한 모니터링을 위해 진입 기동이 이뤄지는 동안에는 다누리가 지구의 안테나와 교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게끔 설계해뒀다고 밝혔다. 총알과 같은 속도(시속 약 3600㎞)로 이동 중인 달 궤도에 총알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다누리(시속 7500∼8000㎞)를 진입시키는 고난도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다누리의 2차 진입 기동은 오는 21일 진행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