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제2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정책 세미나 개최
'한전 공공성 강화 vs 전기요금 현실화' 등 해결방안 제시해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29일 ‘제2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에너지위기상황 극복을 위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29일 ‘제2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에너지위기상황 극복을 위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글로벌 에너지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가 필요하다고 29일 강조했다.

이날 최 회장은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제2회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정책 세미나’에 참석했다. 그는 개회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원자재 공급 차질 문제의 심각성을 짚었다. 

최 회장은 기업들이 탄소중립 경영을 준비하다가 벽에 부딪혔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문제 해결을 위해 맞잡은 손의 각도를 조금씩 좁히면 의지와 힘이 한 방향으로 모여져서 함께 짊어진 짐의 무게가 가벼워지기 마련”이라며 “현재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혜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에너지 대전환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정부와 기업 학계가 한 방향으로 힘을 모았으면 한다”며 “에너지 전환 속도를 내는 것만큼이나 합리적인 솔루션과 효율적인 경로에 대한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29일 열린 세미나를 통해 한국전력 적자, 전기요금, 탈원전 정책 등 에너지 전환 문제 전반을 짚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대한상의는 29일 열린 세미나를 통해 한국전력 적자, 전기요금, 탈원전 정책 등 에너지 전환 문제 전반을 짚었다.  사진=대한상의 제공

최 회장의 개회사 후 세미나는 ‘합리적인 전력시장 개편 및 에너지 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정부 관계자, 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주요인사 300여명 참석했고 한국전력 적자, 전기요금, 탈원전 정책 등의 문제를 다뤘다.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는 전기요금 정상화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조성봉 숭실대학교 교수는 한전 중심의 전력 독점구조 개편을 주장했고 주병기 서울대학교 교수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공공성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경택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시장 과장은 “모든 발전 에너지원이 단일시장에서 단일가격으로 거래되는 구조는 연료비 등 가격 변동리스크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전원별 특성을 고려해 전력시장을 다원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앞으로 세미나를 세 차례 더 개최할 예정"이라며 "산업, 금융, 탄소시장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 산업계, 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전문가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대안을 정부에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