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요금인상 카드도 안 통해
원인은 글로벌 에너지 가격 폭등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전기요금 인상에도 한국전력공사(한전) 연간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영업손실 규모만 30조원대를 돌파하는 등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에너지가격 폭등이 적자난 심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전은 24일 지난해 연간 매출액이 71조2719억원으로 전년 대비 17.5%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32조6034억원으로 457.7% 급증했다. 지난해 적자 규모도 전년(2021년) 대비 6배 이상 뛰었다.
전력판매량과 요금 조정 등에 따라 매출은 증가했고 연료가격 급등으로 영업비용은 37조3500억원 늘었다. 자회사 연료비와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는 각각 15조1761억원, 20조2981억원 늘었다.
전기판매수익부문은 제조업 평균가동률 증가(74.4→75.3%) 등으로 판매량이 2.7% 상승했고, 요금조정으로 판매단가도 올라 8조8904억원의 이익을 냈음에도 폭등한 에너지가격 부담을 상쇄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앞서 재무위기 극복과 누적적자 해소 등 경영정상화 조기 달성에 총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최악의 성적표를 받게 된 한전은 대응책 마련에 골몰 중이다.
당장 한전은 이날 실적을 발표하면서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원가주의 원칙에 입각한 전기요금 조정 및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고착화한 근본적 구조 개선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또 한전은 재무위기를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전력의 생산과 운송, 소비 전반의 과감한 효율 향상에 나설 방침이다.
동시에 국민부담 완화는 물론 국내 전력망 건설에 적극적인 투자와 인력 재배치를 통한 유연한 조직을 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전 관계자는 “상반기 중 완성되는 고객서비스 모바일화를 전기로, 디지털 기반 서비스 등으로 솔루션을 확대하는 한편 탄소중립 달성에 필요한 차별화된 경쟁력과 핵심기술을 확보하면서 제2의 바라카원전 수주 및 전력산업 수출산업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 물가관리가 사명인 한은 총재 "전기·가스요금 적정 수준으로 올려야"… 이유는?
- 국내 에너지기업 "겨울철 난방비 부담 덜자"… 취약계층 지원 '앞장’
- '난방비폭탄' 가스공사 작년 영업익 1.8조?… 미수금 9조원
- 한전·10개그룹사 사장단회의… "고강도 자구책 지속, 올해 3.3조 절감할 것"
- 4인가구 전기요금 이달부터 11000원 오른다… 숨은 폭탄은 '누진세'
- 중견주택업체, 3월 4466가구 공급… 서울은 96세대 분양
- 재벌가 왜이러나, 이번엔 벽산그룹 3세 마약혐의 적발
- 중국, 한국면세시장 진출 '초읽기'… 인천공항 면세점 입찰경쟁 참전
- [게임피버타임] 이갈고 나온 엔씨소프트… 'TL' 글로벌서 통할까
- 한전, 상임감사위원에 행정학 교수 출신 임명
- 한전·한난·가스공사, 에너지 효율화 향상 등에 '900억원' 투입
- 한전, 미래 전력분야 인재 '107명' 선발… 장학금 전달
- 한전 "친환경·에너지 스타트업, 글로벌 수준 경쟁력 확보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