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2030세대 매수건수 794건,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 영향…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기대↑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로 집값이 안정화되자 감소세를 보이던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비중이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2월 20대 이하와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비중은 31.96%다. 전월(29.85%)보다 2.11%포인트 높은 수치로 2021년 1월(33.0%)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수건수는 794건으로 전월(358건)보다 2배 이상 늘었다.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한 2020년 12월, 34%를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을 나타냈으나 정부의 대출규제와 지난해 금리인상 이후 27∼28%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말부터 15억원 초과 고가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허용되고 올해부터 소득과 상관 없이 9억원 이하 주택 대상 최대 5억원까지 연 4%대의 고정금리로 빌려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이 신설되면서 실수요층의 대출문턱이 낮아졌다. 이에 2030세대의 매입비중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구별로는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서구의 2030 매입비중이 54.7%로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성동구(45.6%)와 금천구(45.5%), 영등포구(43.9%), 동대문구(42.9%), 도봉구(41.4%), 강북구(40%) 등이 2030세대의 인기를 끌었다.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36.4%, 33.1%로 소폭 증가했다.
대출규제 완화와 더불어 집값 하락도 젊은층들의 매입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에 이어 전국 집값은 7주 연속 하락폭이 둔화됐다. 서울(-0.13%)은 지난주(-0.15%)보다 하락폭이 줄면서 44주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수도권(-0.22%)도 전주(-0.19%)보다 소폭 줄었다.
정부의 규제완화가 부동산시장에 본격적으로 녹아들면서 수요자들의 기대감을 키웠고 매수타이밍을 노리던 2030세대가 적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집값이 지금보다 더 안정화되고 대출규제까지 완화된다면 다시 2030세대의 매입열풍이 시작될 전망이다.
- 기준금리 올랐는데 주담대 금리 3%대로 하락… 영끌족 '숨통'
- [CEO투데이] '교통체계 혁신' 이끄는 김한영 국가철도공단 이사장
- [부동산 공기업 ③] '투명경영' 바탕으로 주거지원 나서는 SH공사
- 아파트 악성 미분양 8500호 돌파… 지방 건설사 '줄초상' 우려
- [내집 마련 캘린더] 벚꽃만큼 설레는 최고의 '청약찬스'
- 여론악화에 전기, 가스 요금인상 보류… 한전·가스공사 적자 어쩌나
- [기자수첩] 끊이지 않는 '노조괴담', 이제는 바로 잡을 때
- 알스퀘어, 지식산업센터 사무실 입주 기업 대상 최대 100만원 지원
- 경륜경정, 불법 사설경주 근절 위한 '국민 참여 모니터링단' 모집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공식 홈페이지 리뉴얼
- 한국마사회 '야간 벚꽃축제', 오는 9일까지 진행
- LH, 시세 대비 최대 50% 저렴한 '희망상가' 371호 공급 예정
- 경부고속도로, 제1차 대한민국 토목문화유산 선정
- 전국 건설현장 60% 이상 멈췄다… '시멘트 대란' 결국 폭발
- 5대그룹 총수들 부산엑스포 유치에 '영끌'… 빈살만 넘을까
- LH, 영구임대 주거복지사 확대배치 본격화
- 수도권 주택 분양권 전매제한기간, 7일부터 '10년→3년' 단축
-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서비스산업 '창업경진대회' 개최
- [메타센서] 수도권 분양권 전매제한 '대폭 단축'… 집값 영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