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월 2030세대 매수건수 794건, 전월 대비 2배 이상 증가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 영향…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기대↑

대출규제 문턱이 낮아지면서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대출규제 문턱이 낮아지면서 2030세대의 매입 비중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 완화로 집값이 안정화되자 감소세를 보이던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비중이 다시 증가하는 모습이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2월 20대 이하와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비중은 31.96%다. 전월(29.85%)보다 2.11%포인트 높은 수치로 2021년 1월(33.0%)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수건수는 794건으로 전월(358건)보다 2배 이상 늘었다.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한 2020년 12월, 34%를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을 나타냈으나 정부의 대출규제와 지난해 금리인상 이후 27∼28%대로 떨어졌다.

지난해 말부터 15억원 초과 고가주택에 대한 주택담보대출이 허용되고 올해부터 소득과 상관 없이 9억원 이하 주택 대상 최대 5억원까지 연 4%대의 고정금리로 빌려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이 신설되면서 실수요층의 대출문턱이 낮아졌다. 이에 2030세대의 매입비중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구별로는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서구의 2030 매입비중이 54.7%로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성동구(45.6%)와 금천구(45.5%), 영등포구(43.9%), 동대문구(42.9%), 도봉구(41.4%), 강북구(40%) 등이 2030세대의 인기를 끌었다. 경기도와 인천도 각각 36.4%, 33.1%로 소폭 증가했다.

대출규제 완화와 더불어 집값 하락도 젊은층들의 매입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주에 이어 전국 집값은 7주 연속 하락폭이 둔화됐다. 서울(-0.13%)은 지난주(-0.15%)보다 하락폭이 줄면서 44주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다. 수도권(-0.22%)도 전주(-0.19%)보다 소폭 줄었다.

정부의 규제완화가 부동산시장에 본격적으로 녹아들면서 수요자들의 기대감을 키웠고 매수타이밍을 노리던 2030세대가 적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집값이 지금보다 더 안정화되고 대출규제까지 완화된다면 다시 2030세대의 매입열풍이 시작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