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물량, 9년 4개월 만에 최고… 전년 대비 4배 증가
원희룡 "미분양으로 시장 위기 빠졌다고 판단하지 않아"
지난해 주택 거래량 50만건, 전년보다 절반 가까이 감소

전국적으로 미분양 공포가 번지면서 시장 침체기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전국적으로 미분양 공포가 번지면서 시장 침체기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지방에서만 뚜렷했던 미분양 공포가 수도권까지 번진 가운데 지난해 12월 전국에서 주인을 찾지 못한 아파트가 7만호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통계를 추산한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107호다. 전월보다 17.4%(1만80호) 증가한 수치로 2013년 8월(6만8119호) 이후 9년4개월 만에 가장 많은 미분양이 발생했다. 지난해 동월(1만7710호)과 비교하면 4배 가까이 늘었다.

역시 지방에서 미분양 주택이 많이 나왔다. 지방에서 발생한 미분양 물량은 5만7072호로 전월 대비 19.8% 증가했다. 충남(3463호)이 가장 많았고 대구(1745호)와 대전(1386호) 등 지역에서도 미분양이 늘었다. 수도권은 1만1035호로 전월 대비 6.4% 증가했다.

규모별로 따져보면 전용면적 85㎡를 초과하는 중대형 미분양이 전월(6003호) 대비 18.1% 증가한 7092호로 집계됐고 85㎡ 이하는 6만1015호를 기록해 전월(5만2024호)보다 17.3% 증가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은 전월(7110호) 대비 5.7%(408호) 증가한 7518호를 기록했다.

미분양 문제는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심각해졌다. 정부가 언급한 레드라인도 훌쩍 넘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국토부는 미분양 아파트 6만2000가구를 위험선으로 보는데 매달 1만 가구씩 늘어나는 추세”라며 “예상보다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각한 만큼 규제완화 속도를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그러나 지난달 31일 “일반 미분양이 늘어난다고 주택시장에 위기가 찾아왔다고 볼 필요는 없다”며 “거래규제가 과도한 부분을 해소해 미분양이 소화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 미분양 물량을 정부가 떠안을 단계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한편 주택 거래량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택 거래량은 50만8090건으로 전년(101만5171건)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수도권(20만1714건)은 전년 대비 57.9% 급감했다. 비수도권(30만7076건)도 전년 대비 42.7% 감소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